리빌딩 시즌에 정규리그 1위를 넘보는 팀을 만들어냈는데… 신영철 감독과 우리카드의 동행 종료가 씁쓸한 이유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919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 |
우리카드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6년 동안 팀을 지휘한 신영철 감독과의 동행에 마침표를 찍는다.
우리카드는 이번 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만료되는 신영철 감독과 재계약을 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공식 발표했다.
신 감독은 지난 2018년 4월, 김상우 감독의 후임으로 우리카드 배구단의 사령탑으로 부임했다.
대한항공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2010~2011시즌)과 한국전력의 V리그 첫 봄배구 진출(2014~2015, 2016~2017)을 이끄는 등 감독으로서의 역량은 발군이라는 평가를 받은 신 감독은 우리카드에서도 굵직한 성과를 냈다.
2018~2019시즌 3위에 오르며 첫 포스트시즌 진출을 이끌었고, 코로나19로 인해 포스트시즌이 열리지 않은 2019~2020시즌엔 우리카드를 정규리그 1위로 이끌었다.
2008년 우리캐피탈로 창단해 해체 직전에 갔던 드림식스를 우리카드가 인수한 이후 가장 빛나는 장면은 모두 신 감독이 이룩해냈다.
![]() |
2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우리카드는 OK금융그룹을 플레이오프에서 2전 2승으로 꺾고 대한항공과 챔피언결정전에서 만났다.
3차전까지 2승1패로 앞서며 우리카드 창단 첫 챔프전 우승이 눈앞에 보이는 듯 했다.
신 감독 개인에게도 첫 챔프전 우승이 목전이었다.
그러나 외국인 선수 알렉스가 1세트 1-0에서 교체됐다.
구토와 설사 증세가 있어 경기를 뛰기 힘든 상황이었다.
알렉스의 부재 속에 4차전을 0-3으로 내준 우리카드는 5차전에선 알렉스가 돌아와 맹활약했지만 세트 스코어 1-3으로 패하며 대한항공에게 통합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이 통합우승을 시작으로 대한항공은 지난 시즌까지 통합 우승 3연패에 성공했다.
2023~2024시즌을 앞두고 우리카드는 선수단을 크게 갈아엎었다.
신 감독은 부임 이후 꾸준히 트레이드로 선수단을 바꿔왔지만, 올 시즌을 앞두고 가장 큰 변화를 단행했다.
군 입대가 예정되어 있던 토종 에이스 나경복이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어 KB손해보험의 유니폼으로 갈아입은 게 시작이었다.
신 감독은 지난 시즌 주전 세터였던 황승빈을 KB손해보험으로 보내고 리시브 능력이 좋은 아웃사이드 히터 한성정을 데려왔다.
대신 수비력이 좋은 아웃사이드 히터 송희채를 OK금융그룹에 보내고 공격력이 돋보이는 동 포지션의 송명근을 데려왔다.
![]() |
세터 조련에는 자타공인 최고인 신 감독의 자신감이 드러나는 용병술이었다.
외국인 선수 뽑기 운도 좋지 못했다.
아시아쿼터 트라이아웃에선 7순위가 걸려 오타케 잇세이(일본)을 지명했고,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에선 6순위로 마테이 콕(슬로베니아)을 데려왔다.
외국인 선수 중 유일한 새 얼굴이었다.
불확실성이 가득한 선수단으로 올 시즌을 시작한 우리카드는 초반부터 돌풍을 일으켰다.
개막 5연승으로 올 시즈능 시작했고, 2라운드 4승2패, 3라운드 5승1패로 파죽지세를 달렸다.
주축 선수들의 부상으로 신음하던 대한항공의 정규리그 4연패를 막을 수 있는 대항마로 떠올랐다.
신 감독의 지도력이 또 한 번 입증된 시즌이었다.
4라운드 들어 1승5패로 부진하며 상승세가 꺾이는 듯 했다.
여기에 지난 2월9일 OK금융그룹전을 앞두고 마테이가 훈련 도중 발목이 돌아가는 부상을 입었다.
진단 결과는 인대파열. 시즌아웃 판정이었다.
팀 공격을 이끌던 마테이의 부재 속에서 신 감독은 웜업존을 지키는 시간이 길었던 송명근을 중용하고, 미들 블로커로 간간히 활용하던 잇세이를 본 포지션인 아포짓 스파이커로 활용하며 5라운드를 5승1패로 반전시켜내며 대한항공과의 선두싸움을 지속했다.
지난 6일 대한항공과의 6라운드 맞대결, 이른바 정규리그 1위 자리를 놓고 벌인 ‘승점 6’ 짜리 승부에서 3-0 셧아웃 승리를 거두며 대한항공의 정규리그 4연패를 저지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이날 패배로 대한항공은 자력으로 정규리그 1위를 할 수 없게 됐고, 우리카드는 남은 2경기에서 1승만 거두면 정규리그 1위를 확정지을 수 있었다.
![]() |
눈 앞에 있던 정규리그 1위를 놓친 우리카드 선수단의 상실감은 예상보다 컸다.
게다가 매 경기, 매 세트가 클러치 상황인 봄 배구에서는 확실한 에이스 존재가 중요했다.
준플레이오프에서 현대캐피탈을 3-2로 꺾고 올라온 OK금융그룹에는 레오라는 확실한 에이스 카드가 있었다.
반면 정규리그에선 마테이의 공백을 여러 선수로 메워왔던 우리카드는 단기전에선 에이스의 부재가 발목을 잡고 말았다.
OK금융그룹과의 플레이오프를 2전 2패로 마감하며 다사다난했던 우리카드의 2023~2024시즌은 끝이 났다.
우승 도전에 실패하면서 신 감독과 우리카드의 동행이 끝날 것이란 배구계 관측은 그대로 맞아떨어졌다.
리빌딩 시즌임에도 우리카드를 정규리그 우승을 다툴 수 있는 팀으로 올려놓은 신 감독에게 연장계약을 안겨줄 법 했지만, 그 소식은 끝내 들려오지 않았다.
올 시즌 결과를 보고 재계약을 판단하겠다는 의중이 드러난 대목이었다.
결국 우리카드의 선택은 신 감독과의 동행을 끝내는 것이었다.
2020~2021시즌엔 알렉스가 챔프전 4차전을 앞두고 배탈 증세를 보이고, 올 시즌엔 마테이의 갑작스런 시즌 아웃 부상을 당하는 등 신 감독에겐 유독 외국인 선수 복이 따르지 않은 것이 아쉬움으로 남을 법 하다.
우리카드를 떠나는 신 감독은 “그동안 열정적인 선수들과 함께할 수 있어서 행복했고, 어려운 상황에도 늘 아낌없는 지원을 보내준 구단에게 감사하다”고 작별 인사를 남겼다.
![]() |
우리카드 배구단 관계자는 “신영철 감독이 팀을 위한 노력과 헌신에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신감독의 새로운 미래를 응원하겠다”고 전했으며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감독을 선임하고, 우승을 위해 물심양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신 감독은 그간 LIG손해보험(現 KB손해보험)과 대한항공, 한국전력, 그리고 우리카드를 거치며 감독으로서의 역량은 충분히 입증해냈다.
팀 리빌딩에는 신 감독만큼 뛰어난 이는 없다는 게 배구계의 평가다.
사령탑으로 통산 296승을 거두며 V리그 최다승 기록을 갖고 있는 게 그 증거다.
다만 챔피언결정전 우승 트로피가 없는 게 약점이라면 약점이다.
과연 신 감독이 다시 V리그의 사령탑으로 돌아와 300승을 채우고, 챔프전 우승 트로피를 거머쥘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남정훈 기자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