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을 피우지 못해 ‘찬란한 슬픔의 봄’으로 기억될 정관장의 7년만의 봄 배구 나들이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642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 |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
2016~2017시즌 이후 7년을 기다리고 기다려 맞이한 봄 배구였다.
올스타 브레이크를 마친 뒤 후반기 5,6라운드에는 누가 뭐래도 V리그 여자부의 지배자였기에 ‘모란’을 피울 수 있을 줄만 알았다.
그러나 주축 선수 두 명의 부상 공백은 컸다.
결국 ‘대전의 봄’은 단 1경기로 막을 내렸다.
그들의 이번 봄은 그렇게 ‘찬란한 슬픔의 봄’이 되어버렸다.
여자 프로배구 정관장 얘기다.
고희진 감독이 이끄는 정관장은 26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2023~2024 V리그 여자부 플레이오프(3전2승제) 3차전에서 흥국생명에게 0-3(18-25 19-25 19-25)으로 완패했다.
2016~2017시즌 3위에 오르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이후 7시즌 만에 맞이한 플레이오프 무대에서 1승2패로 퇴장하게 됐다.
![]() |
플레이오프 3차전을 패한 뒤 고희진 감독은 “부상 선수 핑계를 대긴 싫다.
아쉽긴 하지만, 누가 없어서 졌다는 등의 그런 말은 안 나왔으면 한다.
이유나 핑계는 없다.
오늘은 흥국생명이 저희를 압도한 경기였고, 축하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패장이 남길 수 있는 가장 깔끔하고도 완벽한 답변이었다.
그럼에도 이소영, 정호영의 공백은 못내 아쉬웠다.
1차전에서 이소영의 공백을 대신한 박혜민이 부진했고, 정호영이 왼쪽 무릎 통증을 느끼자 고 감독은 2차전에서 이소영의 자리엔 김세인을, 정호영을 대신할 미들 블로커 한 자리엔 베테랑 한송이를 투입했다.
김세인이 2차전에서 올린 공격 성적은 평범했다.
서브득점 1개 포함 9득점. 성공률은 33.33%. 다만 1차전에서 박혜민이 전위에 올라올 때마다 공격 생산력이 뚝 떨어진 것을 감안하면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였다.
흥국생명 미들 블로커들이 적어도 김세인이 전위에서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는 게 중요했다.
김세인에 대한 견제가 가해지자 지아와 메가가 공격할 수 있는 틈이 더 생겼고, 두 선수는 2차전에서 나란히 동반 폭발했다.
![]() |
한송이 스스로 “제 플레이는 빵점이에요. 빵점”이라고 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기여가 컸다.
유효 블로킹 11개를 기록하며 상대 공격의 예봉을 꺾었고, 세터 염혜선이 토스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선 침착하게 연결작업을 해줬다.
고 감독도 2차전 한송이의 활약에 대해 “송이가 들어오면 안정감이 생긴다.
감독은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잘 해주는 선수들이 더욱 고맙다”고 치켜세울 정도였다.
3차전에서 고 감독은 2차전과 동일한 스타팅 라인업을 가져갔다.
정호영이 3차전을 앞두고 간절하게 출전하겠다고 졸랐지만, 고 감독은 눈 앞의 1승보다 앞으로 10년은 더 정관장의 코트 가운데를 든든하게 지켜줄 미들 블로커의 장래를 더 생각했다.
2차전의 ‘깜짝스타’였던 김세인의 활약은 3차전에서 이어지지 못했다.
1,2세트에 선발 출장했으나 단 2득점에 그쳤다.
공격 성공률은 20%에 그쳤고, 공격 효율은 ?10%였다.
2차전에서 64.71%(11/17)에 달했던 리시브 효율도 12.5%(1/8)로 다섯 토막이 났다.
한송이 역시 블로킹 2개와 유효 블로킹 6개를 잡아내긴 했지만, 흔들리는 팀을 잡아낼 힘은 이제 그에겐 없었다.
![]() |
2차전 패배 속에서 흥국생명은 3차전 승리를 위한 돌파구를 찾았다.
정관장 공격의 정수인 지아의 파이프(중앙 후위 공격)를 봉쇄해야만 이길 수 있다는 계산이 섰다.
남자부 선수들의 파이프를 연상케 하는 지아의 파이프는 정관장 팀 전체의 사기를 고조시키는, 1점 이상의 효과가 있었다.
마치 농구의 강력한 슬램덩크처럼.
2차전에서도 지아에게 가장 많은 서브를 때렸던 흥국생명이지만, 3차전에선 그 비중을 더욱 늘렸다.
전체 서브 67개 중 32개를 지아에게 때렸다.
47.7%로 거의 절반 가까이를 지아에게 때린 셈이다.
2차전에서도 전체 서브 75개 중 32개를 받아냈던 지아는 2차전의 리시브 효율은 37.5%로 준수했다.
지아가 리시브에서 버텨준 덕에 정관장의 팀 리시브 효율은 45.33%로 매우 안정적이었다.
그 덕에 염혜선은 지아와 메가에게 안정적이면서도 다양한 공격루트를 활용하는 토스를 올려줄 수 있었다.
2차전 지아와 메가의 공격 성공률은 각각 47.76%, 48%로 거의 50%에 육박했다.
![]() |
리시브 효율이 12.5%로 급락했다.
김세인의 리시브 효율도 12.5%에 불과했고, 주전 리베로 노란의 리시브 효율은 아예 0이었다.
9개의 리시브 중 단 2개만 정확하게 세터에게 연결됐고, 서브에이스 2개를 허용했다.
팀 리시브 효율이 11.94%에 불과했다.
리시브 효율이 급락하자 정관장으로선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메가와 지아에게 의존하는 단순한 공격밖에 할 게 없었다.
속공은 단 5개에 그쳤다.
흥국생명 블로커들은 코트 가운데 공격은 신경쓰지 않아도 됐다.
속공을 쓸 수 없게 되자 지아의 파이프도 크게 활용도가 떨어졌다.
파이프는 상대 블로커가 속공일 수도 있겠다는 판단이 들어가야만 블로킹 타이밍을 흔들 수 있다.
2세트 21-16에서 흥국생명 미들 블로커 김수지가 지아의 파이프를 혼자 떠서 막아낸 것도 속공을 전혀 쓸 수 없었기에 가능했던 장면이었다.
경기 뒤 흥국생명 아본단자 감독은 지아에 대한 목적타 서브 비중을 더욱 늘린 부분에 대해 “나도, 선수들도 지아에게 압박감을 더 크게 심어주고 싶어해서였다.
목적타 비중을 더욱 늘렸고, 최대한 불편하게 만들어 파이프를 때릴 수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게 주 목적이었고,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 |
7년을 기다린 정관장의 2024년 봄은 짧았지만, 희망의 씨앗을 뿌린 시즌으로 기억될 법 하다.
2년 전 여자배구판으로 넘어올 때 정관장 팬들의 큰 반대에 부딪혔던 고희진 감독은 올 시즌 자신이 여자배구 사령탑으로서도 충분히 능력이 있음을 입증했다.
여기에 이숙자, 이강주, 김정환 등 현역 시절 각기 다른 포지션에서 뛰었던 코치들이 조화로운 협업을 통해 각 포지션 선수들을 레벨업시켰다.
5,6라운드에서 완전체 정관장이 보여준 막강함은 챔프전 우승을 예감케 할 정도였다.
![]() |
완전체 정관장 선수들 중 다수가 FA 자격을 얻는다.
수술 후 돌아와 완벽한 몸 상태에 이르자 정관장 전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켜줬던 공수겸장 아웃사이드 히터 이소영을 비롯해 미들 블로커의 한 축인 박은진, 리베로 노란이 FA 자격을 얻는다.
여기에 정관장 공격을 이끈 ‘외국인 듀오’ 지아, 메가와 재계약 여부를 고민해야 한다.
이들을 다 눌러앉혀 다시 한 번 챔프전 우승에 도전할 수 있을까.
정관장의 ‘모란’은 아직 피지 않았다.
‘전력 100%로 봄 배구를 맞이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으로 인해 올 봄은 정관장에게 ‘찬란한 슬픔의 봄’으로 기억될 듯 하다.
남정훈 기자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