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더위 먹었나? 규칙 적용 못하는 심판, 여론에 휩쓸리는 사무국, KBO 왜이러나[SS 포커스]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303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17187913585319.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585319_600x400.jpg)
![17187913590356.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590356_600x399.jpg)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이정도면 태업을 의심해야 한다.
눈앞에서 벌어지는 장면에도 우왕좌왕한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제재하기 바쁘다.
심각하다는 말조차 아까울 정도다.
겉으로는 역대 최고 흥행가도를 달리지만, 속은 곪아가는 인상이다.
공정성 강화를 위해 이런저런 제도를 시행했지만, 부작용이 더 커 보이는 KBO리그 얘기다.
![17187913596223.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596223_600x406.jpg)
웃지 못할 오심이 너무 잦다.
기본적인 ‘야구규칙’을 적용하지 못해 비디오판독을 번복하는 일까지 생겼다.
KBO는 19일 “전날 잠실 경기 중 규칙을 오적용해 경기운영에 혼란을 초래한 박근영 심판팀장과 장준영, 문동균 심판위원에게 KBO리그 벌칙 내규에 따라 제재금 각 50만원과 경고처분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18일 잠실에서 열린 NC-두산전 7회초 무사 1루에서 벌어진 플레이에서 포스아웃 상황을 태그 아웃으로 오적용했다.
2루 땅볼 때 타자주자가 1루에서 세이프돼 2루로 달리던 주자는 포스아웃이어야 하는데, 야수의 태그플레이에 현혹됐는지 세이프 선언을 했다.
두산 이승엽 감독은 즉각 비디오판독을 요청했고, 판독실에서도 규칙을 잘못적용한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
![17187913601205.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601205_600x401.jpg)
“타자주자가 1루에서 세이프됐으므로 2루로 달리던 1루주자는 태그 플레이가 아닌 포스아웃 상황이므로 판정을 정정한다”는 박근영 팀장의 설명 이후 NC 강인권 감독이 거칠게 항의하는 장면도 나왔다.
‘비디오판독에 의한 결정은 최종적이며, 항의하거나 번복할 수 없다’는 규정을 위반했다는 얘기였는데, 애초 비디오판독이 아닌 규정 오적용이었던 셈이다.
![17187913607374.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607374_600x727.jpg)
오심 논란 때면 자주 등장하는 심판진이 공교롭게도 이번 사태에서도 등장했다.
이들뿐만 아니라 이른바 ‘3피트 라인 위반’ 자동 볼판정시스템(ABS) 오류 시 볼판정 실수 등 자잘한 실수가 꽤 자주 나온다.
기본적인 규칙조차 헷갈릴 정도면, 심판 역량에 의문부호가 생길 수밖에 없다.
심판들도 할 말은 있다.
ABS는 이어폰을 착용하고 기계음을 들어야 한다.
신경이 분산될 수밖에 없다.
눈과 귀가 따로 놀면, 판단이 흐려질 수도 있다.
‘기계가 판정하겠지’라는 생각으로 소리에 집중하다보면, 당연히 눈으로 따라가야 하는 볼 움직임을 놓칠 수 있다.
파울팁 여부, 체크스윙 여부 등을 놓치는 게 당연하다.
![17187913613658.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613658_600x419.jpg)
애초 충분한 적응기 없이 급하게 ABS를 도입한 것이라는 비판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볼로 들었다고 하세요”라는, 초유의 ‘오심 감추기 시도’로 베테랑 심판이 해임되는 일까지 겪었으니, 심판진은 더 위축될 수밖에 없다.
그렇더라도 심판은 규칙을 올바르게 적용하는 건 심판의 존재 이유다.
심판이 헷갈리면, 야구가 변한다.
“공 하나 잘못본 게 뭐 대수냐”고 따져묻는다면, 선수출신이라는 말도 해서는 안된다.
특정 상황에서 공 하나가 차지하는 비중은 양팀 투수가 던진 299개(한 경기 300개 기준)보다 크다.
![17187913621226.jpe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621226_600x352.jpg)
지나치게 포퓰리즘으로 흘러가는 KBO 행정 시스템도 마찬가지다.
KBO 실행위원회(단장회의)는 6월 회의에서 3피트 라인을 재조정할 예정이다.
홈에서 1루 사이, 페어지역의 흙과 잔디 경계까지 주로로 허용하자는 게 주요 내용이다.
KIA SSG 두산 NC KT 등 여러 팀이 3피트 라인 위반 판정을 받아 거칠게 항의했고 ‘메이저리그는 KBO리그와 3피트 라인 규정이 다르다’는 여론이 들끓자 슬그머니 따라가는 인상이다.
성급하게 ABS를 도입한 것도 결과론적으로는 같은 맥락으로 볼 수밖에 없다.
![17187913629918.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187913629918_600x386.jpg)
팬 퍼스트도 중요하지만, 야구는 선수가 한다.
그라운드 위에 서 있는 선수들이 ‘정해진 규칙’ 안에서 신명나게 각자 플레이를 해야 KBO리그를 보는 팬의 눈도 즐겁다.
여론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KBO라는 꼬리표가 마냥 반가운 얘기는 아니다.
리그 사무국과 커미셔너가 왜 존재하는지, 통렬한 자아비판이 필요한 때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