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은 김라경 ‘인플루언서’ 칭하는데…美 여성 선수·감독·단장·심판·해설자 탄생 [황혜정의 두리번@@]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977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스포츠서울 | 황혜정 기자] 1년 전 얘기다.
지난해 3월 일본에서 열린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는 ‘WBC 붐업 서포터즈’를 꾸렸다.
9명을 선발했는데 야구 선수 출신(2명), 스포츠분야 인플루언서(3명), 응원단(4명)까지 세 분야로 분류돼 이름이 공개됐다.
야구 국가대표 ‘에이스’이자 한국 여자 선수로는 처음으로 일본 야구 실업팀에 입단한 김라경도 속했다.
문제는 김라경이 ‘야구 선수 출신’이 아니라 ‘스포츠분야 인플루언서’로 분류됐다는 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문체부가 김라경의 약력을 소개하며 적은 문구 모두 선수 경력이었다.
▲서울대학교 야구부(여성 최초) ▲일본 실업리그 아사히 트러스트(2022. 06) ▲국가대표 경력(최연소 발탁). 약력 어디에도 김라경의 방송 활동, 인플루언서 활동은 없었다.
체육계 최상위 단체인 문체부에서 ‘여자 야구 선수’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다.
반면 미국에서는 지난 몇 년간 야구계에 ‘최초 여성’ 타이틀이 붙는 사례가 지속한다.
▲2007년=메이저리그 시범경기 최초 여성 심판(리아 코르테시오) ▲2015년=메이저리그 최초 여성 보조코치(저스틴 시걸·오클랜드) ▲2020년=메이저리그 최초 여성 단장(킴 응·마이애미) ▲2020년=메이저리그 최초 여성 풀타임 코치(얼리사 내킨·샌프란시스코) ▲2022년=마이너리그 최초 여성 감독(레이첼 발코벡·양키스) ▲2023년=대학 최상위 리그(D1) 최초 여성 선수(올리비아 피차르도·브라운 대학) ▲2024년=메이저리그 최초 여성 메인 해설자(제니 카부나르·오클랜드) 등이다.
‘최초’ 타이틀을 얻은 여성의 경력을 보면 모두 미국 프로야구 또는 아마야구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한순간에 깜짝 발탁된 ‘신데렐라 스토리’가 아니다.
샌프란시스코 내킨 코치는 2014년 구단 운영부에 합류해 건강 관련 업무, 신인 지명, 선수 개발 직무 등을 6년간 수행했다.
킴 응 전 마이애미 단장도 대학 졸업과 동시에 시카고 화이트 삭스에서 프런트 업무를 시작해 요직을 두루 거쳤다.
올해부터 오클랜드의 목소리가 된 여성 첫 메이저리그 메인 해설자인 제니는 마이너리그 해설부터 차근차근 경력을 쌓아온 베테랑 방송인이다.
D1에서 뛰는 올리비아는 브라운 대학에서 선수로 뛰다가 여름방학 4주간 ML 뉴욕 메츠 구단 스카우트 부서에서 인턴십을 했다.
올리비아는 미국 여자야구 국가대표다.
이와 비교해서 한국 여자 야구 대표 선수가 국내 10개 구단에서 인턴십 등을 경험한 사례는 전무하다.
국내에서 여자야구 대표팀이 운영된 지는 16년이 넘었다.
국내에선 일종의 ‘규칙’을 깨는 일이 여전히 어려워 보인다.
향후 몇 년간 ‘최초’ 타이틀을 단 여성 야구인이 탄생할 일도 요원하다.
구단 프런트 일부 직무를 제외하곤 시작 단계부터 길이 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국내에서 언젠간 첫 여성 프로야구 선수, 첫 여성 KBO리그 심판, 첫 여성 코치, 첫 여성 단장, 첫 여성 해설자가 나오길 바란다.
그러려면 ‘최초’의 길을 걷는 김라경을 인플루언서로 바라보는 시선부터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