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별리그 ‘큰 부상 없고, 체력 비축’…토너먼트에 맞춘 일본 컨디션 시계, 클린스만호와 다르다 [아시안컵]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626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17062308998937.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062308998937_600x432.jpg)
![17062309010587.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062309010587_600x400.jpg)
[스포츠서울 | 김용일 기자]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이 지휘하는 일본 축구대표팀은 철저히 녹아웃 스테이지에 팀 컨디셔닝을 최상으로 맞추고 있다.
조별리그 시작부터 부상자를 제외하고 손흥민(토트넘)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등 베스트11을 대체로 고정화해 운영한 한국대표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과 대조적이다.
모든 스포츠에서 ‘선택의 성공’은 결과로 말한다.
다만 모리야스 감독은 흔히 우승 후보가 대회를 치를 때 임하는 교과서적인 방식으로 팀을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통산 4회 우승을 자랑하는 일본은 이번 카타르 대회를 앞두고 미토마 가오루(브라이턴), 구보 다케후사(레알 소시에다드) 등 일부 주력 선수가 다쳐 경고등이 켜졌다.
그러나 조별리그 기간 구보가 스쿼드에 합류한 가운데 특별한 부상자 없이 16강을 맞이하게 됐다.
반대로 한국은 대회를 앞두고는 특별한 부상자가 없었는데 전지훈련을 거치며 김진수(전북) 등 일부 핵심 요원이 다쳤고, 조별리그 기간 골키퍼 김승규(알 샤밥)와 풀백 이기제(수원 삼성)가 크고 작은 부상으로 전열에서 이탈했다.
월드컵에서도 브라질이나 프랑스 등 강력한 우승 후보는 조별리그가 아닌 녹아웃 스테이지에 맞춰 팀 컨디션을 끌어올린다.
조별리그 초반 기대할 만한 경기력이 나오지 않는 이유다.
조별리그 통과 수준에 맞춰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녹아웃 스테이지에 계획한 대로 주력 선수 컨디션이 최상에 도달하면 엄청난 힘을 발휘한다.
![17062309017926.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062309017926_600x400.jpg)
![17062309027677.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062309027677_600x447.jpg)
모리야스 감독의 의도도 비슷하다.
일본은 조별리그 1차전 베트남전에서 최전방에 유럽파 공격수가 아닌 호소야 마오(가시와)를 배치하는 등 부분 로테이션을 가동했다.
이라크와 2차전에서 1-2로 진 일본은 인도네시아와 3차전(3-1 승)에서 16강행을 확정해야 했음에도 선발진을 8명이나 바꿨다.
대회 3골을 기록 중인 우에다 아야세(페예노르트)나 구보, 도안 리츠(프라이부르크), 도미야스 다케히로(아스널) 등 공수 주력 요원은 조별리그에서 많은 시간을 소화하지 않았다.
철저히 ‘지면 끝나는’ 녹아웃 스테이지에 맞춰 신체 리듬을 맞추게 했다.
실제 구보만 하더라도 100% 경기력이 아니어도 인도네시아와 최종전에서 특유의 예리한 뒷공간 패스 등을 뽐냈다.
경기 체력과 감각이 살아나고 있음을 증명했다.
강호의 정석대로 팀을 운영하는 일본. ‘100%’를 외치면서도 좀처럼 경기력이 살아나지 않는 클린스만호가 바라봐야 할 부분이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