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의 학교체육 정상화 외침, 구조적 난맥상에 텅빈 메아리만 남아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575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협회에서 할 수 있는 게 없어요. 분통 터질 때가 많지만, 현실입니다.
”
지난해였다.
소년체전이 끝나고 고교 입시를 앞둔 시점에 학교 운동부를 해체한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들은 한 학부모가 SOS를 요청했다.
하소연할 곳도, 꿈을 꺾어야 하는, 채 피지 못한 청춘들의 열정에 귀기울일 곳도 없다는 울분에 찬 외침이었다.
해당종목 협회 측은 “우리도 갑작스럽게 통보 받았다”며 놀라운 얘기를 들려줬다.
“학교 운동부 해체, 지도자 선임 권한 모두 교장 재량권이다.
교육부 방침이 그렇다니, 협회에서는 손쓸 방법이 없다.
이런 일을 당한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라며 착잡한 표정을 지었다.
해당 학교 교장은 “학교 운영상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운동부를 유지하려면 적지 않은 돈이 들어가는데, 성과는 미미하다.
대학 진학률이 경쟁력인데, 전국대회 성적을 담보하지 못하면 정부 지원금도 축소된다.
학교를 위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고교 입시를 앞둔 시점에 학교 밖으로 내몰릴 학생선수는 이미 고려대상에서 제외됐다.
결국 해당 운동부는 해체됐고, 학생선수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 또다른 학교 소식이 들려왔다.
핸드볼 명문팀이고, 스타선수를 배출한 곳인데 새로 부임한 교장이 다른 종목으로 전환하기 위해 해체한다고 발표했다.
“골프 같은, 학교에 도움이 될 만한 운동부를 운영하는 게 낫다는 판단”이라는 게 해당 학교 교장이 학부모에게 한 설명의 전부였다.
덕수고, 건국대 등도 야구부 존폐위기에 빠졌었다.
서울시 교육청, 대학총장 등의 일방통행에 학생과 지도자들은 생계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
“그러니까 학생선수도 공부해야 한다”는 논리를 펼치는 쪽도 있지만, 학교 교육이 ‘책상에 앉아 교과서만 파고드는 것’에 국한하는 건 아니다.
스포츠서울이 단독 취재한 ‘배재고 운동부 지도자 전원 경질’ 사태는 한국 학교 운동부가 처한 난맥상을 대변하는 장면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학교 체육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잠재력있는 학생선수가 전문 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체부와 교육부, 지역교육청과 지역체육회 등으로 정책협의체를 구성해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발굴과 현안을 협의하겠다고도 했다.
정책을 발굴하는 것도 유의미한 일일 것이나, 학교 운동부의 존폐가 스포츠에 무지한 사람들의 말 한마디로 결정되는 구조적 난맥상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이 순간에도 수많은 학생선수가 어른들의 무책임 탓에 학교 밖으로 내몰리고 있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