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이 확보한 KBO 뉴미디어 중계권 우선협상권 ‘타 종목’서 더 큰 관심, 왜?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304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CJ ENM이 8일 KBO리그 뉴미디어 중계권 우선협상자로 확정됐다.
예상했던 결과다.
CJ ENM이 뉴미디어 중계권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배경은 우선 다른 컨소시엄에 비해 높은 가격을 제시한 게 크다.
지난해까지 뉴미디어 중계권을 보유한 포털·통신 컨소시엄(네이버·다음·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이 5년간 1100억원으로 연평균 220억원 규모였다.
그러나 CJ ENM은 연평균 400억원을 제안했다.
3년간 1200억원으로, 기존 계약자의 두 배에 달하는 액수다.
여기에 중계영상뿐만 아니라 ‘직관 팬’이 직접 촬영한 경기 영상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동영상 채널 등에 마음껏 쓸 수 있다는 점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상업적 용도가 아니라면, 야구팬이 크리에이터가 되는 시대가 KBO리그에도 도래한다는 뜻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한국야구위원회(KBO)의 중계권 협상 기간이 시작되자 타 종목에서 큰 관심을 드러낸 점이다.
프로스포츠는 다채널, 대매체로 대중에게 끊임없이 노출돼야 소구력을 갖는다.
‘국민스포츠’로 불리는 KBO리그는 다른 프로스포츠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밖에 없다.
가장 큰 관심사는 역시 가격. 지상파, 케이블TV 스포츠채널, 뉴미디어 등 중계권 가격만 2000억원을 웃도는 규모여서 타 종목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프로축구 K리그나 프로배구, 프로농구 등 대중스포츠뿐만 아니라 남녀 프로골프에서도 KBO리그의 중계권 규모와 기간, 온라인·모바일 송출 방식 등에 큰 관심을 드러낸다.
스포츠가 콘텐츠로 자리매김해야 산업화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은 KBO뿐만 아니라 모든 프로스포츠 협회가 공감하고 있다는 의미다.

때문에 이번 뉴미디어 중계권 협상은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에도 눈길이 쏠린다.
프로스포츠가 보편적 시청권에 포함되는지 여부부터 과연 무료 이용이 맞는지에 관한 논의 등도 물밑에서 활발히 전개될 전망이다.
더불어 프리뷰, 리뷰 등 하이라이트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VOD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어떤 형태로 바꿀지도 업계 관심을 끌고 있다.
CJ ENM의 특성상 KBO리그를 예능이나 K-콘텐츠와 어떻게 버무릴지도 호기심을 자극한다.

모바일인덱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티빙 월간 이용자수(MAU)는 506만여명(2023년 12월 현재)으로 K-리그와 분데스리가 등으로 파상공세 중인 쿠팡플레이(493만여명)의 거센 추격을 받고 있다.
CJ ENM으로서는 위기로 볼 수도 있는데, KBO리그를 발판삼아 국내 OTT 시장의 절대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도 프로스포츠 산업 측면에서는 의미있는 주제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