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전 리베로가 리시브 33개를 받아 효율 0%? 정관장의 흥국생명전 패배는 어쩌면 당연했다 [남정훈의 오버 더 네트]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5,990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 |
전후위 상관없이 두 선수 중 리시브가 더 약한 선수에게 날리는 경우가 더 많지만, 전위인 아웃사이드 히터에게 때리기도 한다.
전위에 위치한 아웃사이드 히터가 리시브를 하다 넘어지기라도 하면 공격 루트 하나를 지워버릴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수없이 후위 아웃사이드 히터들의 파이프(중앙 후위 공격) 옵션이 사용되는 남자부보다는 파이프 옵션이 잘 사용되지 않는 여자부에서 더 효과적인 전술이다)
리베로에게 목적타 서브를 때리지 않는 이유는 단순하다.
수비 전문 선수이기 때문에 리시브를 당연히 잘 하기 때문. 이는 곧 리베로가 받은 리시브 개수가 많다는 것은? 그 리베로가 리시브가 그리 좋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물론 리시브가 약한 아웃사이드 히터에게 집중되는 플로터 서브를 리베로가 대신 커버해줄 경우 리베로의 리시브 개수가 늘어나기도 한다)
![]() |
이날 정관장의 패인은 여러개가 있었다.
주전 세터 염혜선이 무릎 통증으로 아예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고 했던가. 염혜선 대신 코트 위 야전사령관 역할을 맡은 김채나와 안예림의 토스는 합격점을 주기는 어려웠다.
아울러 정관장이 자랑하는 ‘쌍포’ 메가(공격 성공률 39.13%)와 부키리치(29.58%)는 각각 29점, 22점을 폭발시켰지만, 범실도 10개, 12개를 저질렀다.
둘이서 한 세트를 헌납할 점수에 필적하는 22점을 거저 내줬으니 정관장의 경기력이 일정할 수 없었다.
![]() |
정관장이 승리할 수도 있었던 경기였지만, 결정적인 패인은 리시브 싸움이었다.
흥국생명이 팀 리시브 효율을 39.56%로 가져가며 일정 이상의 세트 플레이를 구사할 수 있었던 반면 정관장의 팀 리시브 효율은 18.63%로 흥국생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곧 메가와 부키리치가 잘 세팅된 공격보다는 하이볼을 때리는 오픈 상황이 많았다는 얘기다.
자연히 메가와 부키리치의 공격 범실도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정호영-박은진으로 이어지는 V리그 정상급의 미들 블로커들의 공격옵션도 잘 사용하지 못했다는 얘기가 된다.
![]() |
리베로 노란이 무려 33개의 리시브를 받았음에도 효율이 0%였기 때문이다.
이날 노란의 리시브는 꽤나 심각했다.
33개의 리시브 중 ‘excellent’ 판정을 받은 건 단 3개에 그쳤다.
그런데 리시브 효율이 0%인 이유는? 상대에게 서브득점 3개를 헌납했기 때문이다.
3-3은 0이니 노란의 리시브 효율을 계산할 때 분자가 0이 됐기 때문이다.
이날 정관장의 주요 리시브 라인인 노란, 표승주, 부키리치가 받은 리시브 갯수를 살펴보자. 노란이 가장 많은 33개, 표승주가 32개, 부키리치가 24개. 노란이 공격수들이 받아야 할 서브를 커버해줬다손 치더라도 너무 많은 숫자다.
곧 흥국생명의 서버들이 노란에게 목적타 서브를 집중했다는 얘기다.
![]() |
그러나 최효서도 리시브 9개를 받아 2개는 정확하게 전달했으나 서브득점 1개를 허용해 리시브 효율은 11.11%에 그쳤다.
노란은 리시브보다는 디그에 특장점을 가진 리베로다.
그래도 지난 시즌엔 37.37%의 리시브 효율로 7위에 올랐으나 올 시즌은 26.04%의 효율로 10위권 밖에 벗어나있다.
이날 경기 전까진 31.44%로 30%대는 유지했으나 이날 부진으로 무려 5% 이상이 하락했다.
![]() |
올 시즌 공격력 강화를 위해 부키리치를 영입했고, 메가와 공존을 위해 부키리치가 리시브 라인에 서고 있다.
부키리치는 자기 바로 앞으로 오는 서브를 커버하고 애매한 코스로 오는 것은 노란이 처리해야 할 상황이 많아졌다.
그런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이처럼 지난 시즌에 비해 10% 이상 리시브 효율이 떨어져서는 정관장이 일정한 경기력을 유지하기 힘들다.
![]() |
그러나 공격이라는 ‘구슬’도 꿰어야 보배인 법. 이를 위해선 30% 중후반대~40% 초반대의 리시브 효율이 담보되어야 쌍포의 위력이 더 배가가 될 수 있다.
고희진 감독은 “올 시즌 우리는 우승을 노리는 팀”이라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정관장이 올 시즌 챔프전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선 반드시 담보되어야 할 것 하나가 있다면, 바로 노란의 리시브 효율 반등이다.
과연 노란이 다음 경기에선 정관장의 주전 리베로다운 면모를 회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남정훈 기자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