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귀화 1호’ 원유민, IPC 선수위원 선거 운동 시작…“캐나다 남았다면 도전조차 못 했죠” [파리2024]
작성자 정보
- 토토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371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17247152867431.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247152867431_600x449.jpg)
[스포츠서울 | 파리=김동영 기자] 장애인 귀화 1호 패럴림피언 원유민(36·BDH파라스)이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선수위원에 도전한다.
원유민은 26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2024 파리 패럴림픽대회 선수촌에서 첫 공식 선거 운동을 시작했다.
선수촌에서 만난 원유민은 “캐나다와 한국 국적으로 하계 패럴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을 모두 경험했다”며 “선수위원이 된다면 선수 생활에서 느꼈던 것들을 현실로 이뤄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17247152890051.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247152890051_600x937.jpg)
IPC 선수위원은 2008 베이징 대회 때 신설된 자리로 IPC 위원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선수를 대표해 세계 장애인 체육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목소리를 낸다.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추천을 받은 원유민은 홍석만(현 한국도핑방지위원회 선수위원장)에 이어 한국 선수로는 두 번째로 4년 임기의 IPC 선수위원 당선을 노린다.
원유민은 “그동안 동료들의 권익 신장을 위해 뛰고 싶은 마음이 컸다”며 “선수들에게 내 경험을 전달하면서 열심히 뛰겠다고 투표를 호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17247152902942.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247152902942_600x821.jpg)
1988년 1월 한국에서 태어난 원유민은 4살 때 교통사고로 두 다리를 잃었고 12살 때 가족들과 캐나다로 이민을 떠났다.
원유민을 좀 더 나은 환경에서 키우겠다는 부모님의 결심 때문이었다.
원유민은 “부모님이 날 위해 많은 것을 포기하셨다”며 “캐나다에 간 뒤 부모님이 많이 고생하셨던 것이 기억난다”고 말했다.
장애가 있는 이방인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그러나 원유민은 운동을 통해 자아를 발견했고, 세상과 대화하는 법을 배웠다.
“휠체어 농구를 시작한 뒤 주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됐다”며 “운동은 날 세상 밖으로 이끌어준 소중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캐나다에서 장애인 선수로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갔다.
운동과 학업에 열중해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 심리학과에 진학했고, 캐나다 휠체어 농구 국가대표로도 뽑혀 2016 리우 패럴림픽에 출전했다.
![1724715291963.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24715291963_600x929.jpg)
남부러운 것 없는 인생이었다.
그러나 원유민은 2017년 한국행을 결심했다.
모국에서 열리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태극마크를 달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
한국에서 쓰던 이름인 ‘원유민’을 캐나다에서 그대로 사용하고, 한국말을 잊지 않는 등 한국에 남다른 감정을 갖고 있던 원유민은 한국 국적을 회복한 뒤 노르딕스키 선수로 전향해 훈련에 전념했다.
원유민은 결과적으로 평창 무대를 밟지 못했다.
한 선수가 국적을 바꿔서 패럴림픽에 출전하려면 기존 국적으로 출전한 국제대회 이후 3년이 지나거나 이전 국적 국가패럴림픽위원회의 허락이 필요하다.
캐나다 패럴림픽위원회가 이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7247152930752.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247152930752_600x842.jpg)
원유민은 “비록 꿈에 그리던 평창 패럴림픽은 출전하지 못했지만, 한국 귀화 판단을 후회하지 않는다”며 “한국은 내게 더 많은 기회와 꿈을 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원유민은 노르딕스키 선수로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 출전해 한국 선수로 패럴림픽 무대를 밟겠다는 꿈을 이뤘다.
한국으로 귀화한 선수가 패럴림픽에 출전한 건 처음이었다.
이제 파리에서 IPC 선수위원에 도전한다.
원유민은 “만약 캐나다에 남았다면 IPC 선수위원에 도전조차 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한국에 진 빚을 갚기 위해서라도 꼭 당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17247152951755.jpg](https://totohill.net/data/file/sports_forum/thumb-17247152951755_600x833.jpg)
원유민이 선수위원의 꿈을 이루기 위해선 25명의 후보 중 6명 안에 들어야 한다.
“리우 올림픽 때 유승민 전 선수위원이 어떻게 당선됐는지 알고 있다”며 “오전부터 밤늦게까지 선수촌을 쉼 없이 돌아다니면서 투표를 호소하겠다”고 말했다.
IPC 선수위원 후보는 9월5일까지 선거 유세 활동을 할 수 있고, 홍보활동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시간과 장소도 정해져 있다.
한국에서 홍보용 명함 2천장을 준비해온 원유민은 인터뷰를 마치자마자 다시 선수촌으로 들어가 선수들의 두 손을 맞잡았다.
투표 결과는 9월8일 폐회식에서 공개된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토토힐 운영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